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정의
- 프로그래밍언어패러다임
- 비전공자
- 방통대
- 정보처리산업기사
- 모바일앱프로그래밍
- 소프트웨어공학
- 컴퓨터과학개론
- 정처기준비
- 정보처리기사
- 테스팅원리
- 검증테스팅
- 결함테스팅검증테스팅차이
- 소프트웨어테스트
- 정처기
- 린개발론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 A* 알고리즘
- 공부하는직장인
- 컴퓨터과학과
- 린소프트웨어개발론
- 프로그래밍패러다임
- 균일비용탐색
- 시험공부
- 수제비
- 개발자
- 프로그래밍
- kiss원칙
- 결함테스팅
- 언덕오르기탐색
- Today
- Total
목록일단 시작하는 우와 (5)
우와테크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실기입니다. 실기합격까지는 시간이 걸렸습니다. 3번의 시도 끝에 합격했습니다. 일단 제가 저지른 실수를 우선 말씀 드리겠습니다. 1. 기출문제만 봤다. 2. 눈으로 만 봤다. 입니다. 눈치채신 분들도 계시겠지만 필기 준비하는 과정의 특징입니다. 기출문제만 눈으로 보는 것! 실기에는 통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이번회차에는 방법을 바꿨습니다. 실기 준비하는 과정 : 6단계 + 3단계 실기 준비물 : 수제비 실기 교재, A4용지, 파란색 볼펜 여러개 수제비 실기 교재를 정독한다. 모두 눈으로 본다는 생각으로 정독한다. "용어-정의"에 해당하는 문장은 A4용지에 적어본다. 필사하듯 문장을 완벽하게 쓴다. 모든 문제를 A4용지에 답을 적으면서 푼다. 틀린문제는 아쉬워하거나 좌절하지 않고 문제..
앞글에 이어 좀더 자세히 적어보고자 합니다. 우선 필기 입니다. 필기 준비하는 과정 : 6단계 + 3단계 필기 준비물 : 본인이 가지고 있는 스마트폰과 크기 두께가 가장 비슷한 상철수첩 구글에서 정처기 필기 기출 10개년을 찾는다. 문제에 대한 답을 모두 체크한다. (저는 프린트해서 체크했습니다.) 문제와 정답만 외운다. 10개년을 모두 외운 후에 문제를 풀어본다. 틀린 문제에 대한 답만 틀린문제와 함께 준비한 상철수첩에 적는다. 상철 수첩을 시도때도 없이 본다. (추가 3단계) 수제비 필기 교재를 외운다 생각하지 않고 소설책 읽듯이 읽는다. 두음쌤은 두번정도 되뇌어 보고 핵인싸 문제는 모두 푼다. 단원문제를 풀어보고 틀린 문제만 문제와 답을 상철 수첩에 적는다. 필기 같은 경우는 정답으로 눈에 익은 용..
우와소개부터 하겠습니다. 저는 비전공자입니다. 컴퓨터관련 전공으로 대학을 졸업하지 않았습니다. 다른 전공으로 4년제 대학을 졸업하고 그 전공으로 근무하던 4년째 되던 해에 해당 전공 기사를 땄습니다. 해당 전공 기사는 준비할 때 볼 수 있는 교재가 없기 때문에 각 단원당 전공책 한 권씩 해서 전 범위를 봤습니다. 일년에 한번, 1회때 에만 시험칠 수 있고, 저는 한번 재수하고 그 다음해에 취득하였습니다. 그러고 일년더 일하고 5년 경력으로 퇴사하고 개발자가 되었습니다. 현재 풀스택으로 1년을 근무하고 있지만 다들 아시다 싶히 그저 잡부입니다. 아무것도 안하는 건 아닌데 경력에 아무것도 적을 수 없는 개발자입니다. 그런 제가 이번 2022년 1회 정처기 실기 가채점 결과 합격입니다. 필기와 실기로 나누어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