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와테크

업스트림 (upstream) 본문

용어

업스트림 (upstream)

uwaTech 2023. 11. 6. 16:01

컴맹이 리눅스 공부하다가 정리하는 용어 1

 

클라이언트나 로컬 기기에서 서버나 원격 호스트로 데이터를 보내는 방식을 말한다.
거슬러 올라간다는 개념으로 생각하자.
 Wikipedia 

 

업스트림은 소스 코드로 배포되는 소프트웨어의 원래 작성자 또는 유지 보수 관리자에게 전송하는 방향을 말하며, 주로 버그 또는 패치의 자격으로 전송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업스트림으로 전송된 패치는 소프트웨어의 원본 작성자 또는 유지 보수 관리자에게 제공된다.

전송된 내용이 승인될 경우, 작성자나 유지보수 관리자는 즉시 또는 향후 출시에서 소프트웨어에 패치를 포함시킬 것이다. 그러나 거부될 경우, 패치를 제출한 사람은 자신의 제작 소프트웨어 배포를 스스로 유지 보수 관리를 해야한다.

업스트림 개발을 통해 다른 배포판이 향후 출시를 선택할 때 이 배포본의 이점을 활용할 수 있다.[1]

이 용어는 또한 버그와 관련이 있다. 버그에 대한 책임은 배포의 이식 및 통합 노력을 통해 야기되지 않은 경우 업스트림에 있다고 한다.

 

 

CentOS Stream은 RHEL용 업스트림 프로젝트입니다.

 

에서 업스트림을 쓰는 이유는 오픈 소스를 기여하려면 로컬에서 작성한 소스를 서버에 보내야 하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