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어

CDN(Content Delivery Network)이란?

uwaTech 2021. 12. 30. 08:14

 

다양한 콘텐츠를 복잡한 네트워크 환경에서 사용자에게 안정적으로 전송해 주는 서비스

- 네이버 게임용어사전 : 기관/용어

 

트래픽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

용량이 큰 이미지/ 영상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해 등장한 기술

- 미래에셋증권 공식블로그 '글로벌 소프트웨어, 클라우드와 COVID-19: CDN의 부상'

 

이게 뭔말이지??? 어떻게 관리하길래 효율적이라는 거야?? 라는 의문에 좀더 찾아보기로 했다.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여러 노드를 가진 네트워크에 데이터를 저장하여 제공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를 ISP라고 하는데 이 곳에 직접 연결되어 데이터를 전송하므로 병목을 피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위키백과

>>>나는 카드에 들어 있는 돈을 출금하려고 한다. 그러면 크게 두가지를 생각 할 수 있을 것이다. 

>>>가까운 은행을 방문하거나 가까은 ATM기를 찾아서 돈을 찾거나.

 

>>>오늘이 하필 월말 금요일 오후 3시라고 한다면?

>>>가까운 은행에 방문했을 경우 은행업무를 보려고 하는 사람들이 많을 것이다. 

>>> '업무를 보려고 하는 사람들' = '출금 업무를 보려고 하는 나' = '데이터를 전송하려고 하는'

>>>'은행원 1명당 업무를 보려고 하는 사람들이 많아진 것이다.' = '병목현상'

>>>반면 내가 ATM을 방문했다면?

>>>보다 빠르게 출금을 할 수 있다. 

>>>나의 계좌에서 '돈'을 빠르고 정확하게 내 손에 전달한다 =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전달한다.

>>>ATM은 은행창구가 있는 건물에도 있지만 편의점 옆, 큰 건물 1층과 같은 곳에도 존재한다 = 여러 노드를 가진다.

>>>ATM에서 입금을 하거나 출금을 할 수 있다. =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는 데이터를 저장하여 제공한다.

>>>은행 =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ISP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지리적 제약없이 전 세계 사용자에게 빠르고 안전하게 콘텐츠를 전송할 수 있는 콘텐츠 전송 기술을 의미한다. 

서버와 사용자 사이의 물리적인 거리를 줄여 콘텐츠 로딩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 한다. 

각 지역에 캐시서버를 분산 배치해, 근접한 사용자의 요청에 원본 서버가 아닌 캐시서버가 콘텐츠를 전달한다.

-가비아 라이브러리

 

>>>나는 넷플릭스에서 제공하는 '지옥 1화'를 보고 싶다.

>>>나는 한국에 있다. 넷플릭스가 제공하는 '지옥 1화'가 미국에 있는 저장공간에 있다고 치자.

>>>내가 '지옥 1화'를 요청한다. = 사용자의 요청에 원본서버에서 '지옥 1화'를 전달한다.

>>>거리가 멀기 때문에 '지옥1화'를 보기위해 로딩시간이 길어진다.

>>>전달과정에서 1분24초 부터 3분12초의 영상에서 소리가 유실될 수 있다. 

>>>만약 넷플릭스의 저장공간이 서울에 있다면?

>>>나와 저장공간이 비교적 짧아졌다 = 서버와 사용자 사이의 물리적 거리를 줄였다.

>>>거리가 가깝기 때문에 '지옥1화' 로딩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였다.

>>>나에게 '지옥1화'를 빠르고 안전하게 전송하였다.

 

2021.01.05